한옥(韩屋)은 전통 한국 건축 양식을 사용한 재래식 집을 말한다 조선집이라고도 한다 현대식으로 지은 집은 '양옥'이라고 한다 한옥에는 여러가지 형태가 있는데 대체로 막집움집초가집기와집너와집귀틀집 등이 있다그들의 재료도 다양하고 형태도 다양하다예를들어 말하면 막집은 나뭇가지나 낙엽, 가죽으로 임시로 만든 집이고 원시시대 때 사용했고 움집은 신석기 시대부터 청동기 시대까지 사용했고 이엉을 덮어 만든 반지하 가옥이고 가장 대표적이고 지금까지 전해져 내려오는 초가집과 기와집은 현대 문명과 생활의 수요로 많은 개변과 발전을 했고 집 재료 또한 다양하다그외에도 너와집과 귀틀집이 있다한옥은 북방민족의 특성으로 보아 여름에는 선선하고 겨울에는 추위를 막아 인간의 생존에 정말 알맞게 지어진 동방의 건물이라 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동방 문명의 초석의 한부분이라 해도 과분하지 않을 건축 디자인이다한옥은 특성상 대체로 뒤로는 산을 등지고 앞으로는 태양이 잘 들어 오는 남향집 혹은 동남형으로 되어 있고 배산 임수(背山临水)의 원칙을 지키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산의 모양이나 물의 모양에 따라 세부적으로 조율하는데, 이는 건축주의 사주팔자나 직업, 지병 등에 따라 건축가가 임의로 조정하기도 한다 또, 한옥은 바람의 통로와 물의 위치, 산과 평야와의 거리와 방향, 즉 풍수지리 이론에 근거하며 집의 목적과 거주자의 성향에 따라 매우 다르게 짓는 건축물이기도 하다 온돌로 방바닥을 데워 추운 겨울을 나고, 마루가 있어 여름을 시원하게 보낼 수 있다 한국의 전통 건축양식은 다양한 왕조를 거치며 변모해 왔는데 현재 가장 많이 선호되는 양식은 조선왕조의 양식을 주로 따르며, 부분적으로 남북국 시대의 양식을 따르기도 한다역사적으로 볼때 초기계단의 한옥은 비교적 원시적이고 임시거주지로 사용되었지만 개화기에 들어서면서 부터 점차적으로 많은 개변을 가져다 주고있다특히는 현대 문명의 영향아래 그면모가 많이 달라졌다그예를 들어 설명한다면